Page 13 - 빌리온 G123
P. 13

Q. 그런 세심한 배려가 있었군요. 이주민 사역을 위한 특별한 노하
                    우가 있다면 더 알려주세요.
              여러분들이 동역하고 있지만, 전임 사역자는 저와 남편 선교사 둘이 전부
            입니다. 올해 남편이 은퇴하기 전까지는 혼자서 했고요. 많은 분이 전임 사

            역자 수에 비해 사역 규모가 커서 놀라십니다. 그 이유는 사역이 진행되면
            서 상황과 필요에 맞게 사역들이 확장되었기 때문인데요.
              저희 사역 목표는 예배와 제자 양육입니다. 한국어교실, 컴퓨터교육, 의
            료봉사, 문화체험, 체육대회 등의 선교 접촉점을 위한 다양한 사역들도 이
            주민 사역에 필수입니다.
              특히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임금 체불이나 산업재해 문제와 관련하여
            직업교육과 노동상담도 놓치면 안 됩니다. 또한 구직 과정에 지낼 곳이 없
            는 이주민들을 위한 쉼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한 자매가 지내고
            있고요. 이들을 실질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이러한 필요를 채워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Q. 국내 뿐아니라 해외 현지사역도 하시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저희 사역의 궁극적 목표는 국내 사역을 통한 해외 현지사역입니다. 최종
            적으로 현지에 토착교회 설립과 그 교회를 통해 무교회 지역으로 교회가 확
            산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저희가 이주민 중에서도 다시 자국으로 돌아갈 외
            국인 근로자를 타깃으로 하는 이유입니다. 국내에 있는 4년 10개월, 길게는

            9년 8개월 동안 열심히 훈련하여 파송하고, 이들을 통해 해외 현지에 교회
            개척을 하는 것입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교회 개척 전에 여러 차례 리더들
            의 고향을 방문해 전도 집회와 마을 잔치 등을 통해 현지인들과 충분히 신
            뢰를 쌓아 전도의 문을 여는 것입니다. 마을 어른들의 마음이 열려야 교회
            를 세우고 전도하는데 장애가 없습니다.


                    Q. 해외 현지교회를 개척할 리더 즉, 현지인 선교사를 훈련하고 파
                    송하는 거네요? 양육 과정이 쉽지 않을 거 같습니다.
              센터의 훈련과정은 만만치 않습니다. 현재 센터에 30~40개국 사람들이

            출입하고, 그중에 가장 많이 모이는 캄보디아인들을 위주로 주일예배를 드
            리고 있는데요. 우리 교인들 모두 성경공부와 삶의 모범, 마지막으로 필기
            시험을 통과해야 세례를 받을 수 있습니다. 4~5년 양육해도 세례받지 못하
            는 교인들 많습니다. 리더 양육은 세례자로서 리더훈련의 소명이 있는 형제
            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집니다.
              신구약과 신조, 조직신학은 물론 실천으로 전도와 기도가 생활화되어야
            만 이들의 몸에 밴 현지의 토속종교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그들이 돌


 |  13_2020년 겨울호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