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동로인 19년 1-3월호
P. 10
|기획연재| 중국교회사
당대 중국교회 기독교발전사 1949~1997(XXIII)
趙天恩, 蔣婉芳 공저
목 차
제1장 기독교 삼자혁신운동의 시작(1949~1953)
첫째 <건국초기>의 정치와 사회형세
둘째 <건국초기> 중국공산당의 종교정책
셋째 삼자혁신운동의 시작 2. 부흥 기간의 가정교회의 조직 및 사역
넷째 결론 1) 가정교회 조직의 시작
제2장 삼자애국운동의 발전과 확실한 정착(1954~1958) 문화대혁명 초기, 공개된 모든 교회
첫째 1954~1958년 기간의 정치 및 사회 형세 는 파괴당하거나 봉쇄당하고 기독교인
둘째 1954~1958년 기간의 중공 종교 정책
셋째 삼자회 감독 하의 중국 기독교계 개조 과정 들은 큰 타격을 받았다. 그러나 비공개
넷째 교회 내 명방운동과 반우파(反右派) 간 투쟁의 전개과정 적으로 비밀리에 모여 서로 위로하며
다섯째 결론
서로를 위해서 기도하던 가정교회는 점
제3장 사회주의 제도 하의 기독교(1958~1966) 점 증가하여, 1970년대 이르러서 가정
첫째 1958-66년 기간의 정치 및 사회형세
둘째 1958~66년 기간의 중공의 종교정책 교회가 흥왕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사회주의 제도 하의 기독교 이 가정교회들은 대다수가 어떤 조직
넷째 총결
도 없이 개별적으로 발전한 것이다. 주
제4장 문화대혁명 시기에 중국교회가 겪은 어려움 로 열정적인 성도가 자신의 집을 개방
첫째 문화혁명 시기의 정치 및 사회형세
둘째 문화혁명 시기의 중공의 종교정책 하고 집회 장소로 사용하였고, 교육과
셋째 맺는말
목양하는 일에 부담을 가지고 열심히
제5장 문혁후기 중국교회의 부흥(1969~1976) 일했다. 순회전도자나 젊은 전도자들이
첫째 문혁후기의 정치 및 사회형세 증가하면서 가정교회(특히 농촌교회)
1. 정치방면
2. 경제방면 에 전도자가 부족하여 생긴 곤란한 문
3. 외교방면 제들이 서서히 해결되었다.
4. 사회방면
둘째 문혁후기 중공의 종교정책
1. 급진적인 반종교정책 확대 비록 화동(華東)지역에 불과하지만,
2. 종교를 이용한 국제통일전선공작의 진행
셋째 문화대혁명 후기 가정교회의 부흥 온주(溫州) 일대의 예를 들면, 날로 흥
1. 가정교회의 부흥과 현상 및 발전 동력 왕하고 있는 가정교회에는 이미 계통을
2. 부흥기간의 가정교회의 조직 및 사역
3. 부흥기간에 가정교회가 받은 박해 가진 조직이 있었고, 그 목적은 교회사
[다음호에 계속]
역을 효과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10